신용평가별 등급정의 - 국내 평가사 등급정의 표
| 구분 |
등급 |
등급의 정의 |
| 투자등급 |
AAA |
채무상환능력이 극히 높음. 최상등급 |
| AA+ |
채무상환능력이 매우 높음, 상위 등급과 크게 차이는 없으나 최고 수준은 아님 |
| AA |
| AA- |
| A+ |
채무상환능력이 높음, 상위 등급의 기업에 비해서는 경기침체와 시장환경변화의 영향을 받기 쉬움 |
| A |
| A- |
| BBB+ |
채무상환능력은 충분하나, 상위 등급의 기업에 비해서는 경기침체와 시장환경변화의 영향을 받기 쉬움 |
| BBB |
| BBB- |
| 투기등급 |
BB+ |
가까운 장래에 채무불이행이 발생할 가능성은 비교적 적으나, 경영상태, 재무상황, 경제상황이 악화될 경우, 채무불이행 가능성이 충분히 고려됨. |
| BB |
| BB- |
| B+ |
현재로서는 채무상환능력이 있으나, 상위 등급의 기업에 비해 경영상태, 재무상황, 경제상황이 악화될 경우 채무불이행 가능성이 높음 |
| B |
| B- |
| CCC+ |
현재 채무불이행 가능성이 있으며, 채무이행능력은 경영, 재무, 경제상황이 호의적일 경우에만 있다고 보여짐 |
| CCC |
| CCC- |
| CC |
채무불이행 가능성이 현재로서 상당히 높음 |
| C |
파산 신청중이거나 이와 유사한 상황이나 원리금은 계속 상환하고 있음 |
| D |
채무만기시 1건이상의 채무를 상환하지 못한 기업을 의미함. |